중장년 고용 현황, 갈 길은 어디 ?

  • 등록 2025.11.10 11:44:55
크게보기

공동해법, '퇴직 후 재고용' 선택 60%

중견기업 10곳 중 6곳은 기업 경쟁력 제고와 고령자 근로 안정을 위한 공동 해법으로 '퇴직 후 재고용'을 선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10일 발표한 '중견기업 계속 고용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견기업 62.1%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고령자 계속 고용 방식으로 '퇴직 후 재고용'을 꼽았다. 이는 '정년 연장'인 33.1%를 크게 앞선 수치다. '정년 폐지'는 4.7%에 그쳤다.

 

최근 국회를 중심으로 정년 연장 논의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중견련은 중견기업의 계속 고용 운영 실태를 파악·분석해 향후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는 매출 500억 이상 일반 중견기업 2507곳 중 169개사가 참여했다.

중견기업의 52.6%는 법정 정년(60세)을 넘긴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69.6%는 '퇴직 후 재고용' 방식을 채택 중이었다. 재고용 사유(복수응답)로는 기존 근로자의 전문성·노하우 활용(84.2%), 신규 채용 애로로 인한 인력난 해소(24.7%),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20.2%) 등이 거론됐다.

 

퇴직 후 재고용된 근로자의 임금은 정년 시점 대비 '90% 수준'이 31.4%, '80% 수준'이 23.6%로 나타났다. 31.4%는 ‘100% 이상’을 지급하고 있었다.

 

법정 정년이 65세로 연장될 경우 부담 요인(복수응답)으로는 인건비(64.5%)가 첫 손에 꼽혔다. 청년 신규 채용 여력 감소(59.7%)와 조직 내 인사 적체 심화(41.4%)가 뒤를 이었다.

 

응답기업 89.3%는 법정 정년 연장 시 인건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10%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의견이 45.0%로 가장 많았고, 30% 이상도 16.6%에 달했다.

 

업계는 고령자 계속 고용 활성화를 위해 세제 혜택 확대(57.9%), 인건비 직접 지원(53.2%), 고용 유연성 제고(37.2%), 사회보험료 부담 완화(36.0%)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퇴직 후 재고용’ 인력 운용 현황에서 보듯 숙련된 고령자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인 반면, 현장의 수요와 괴리된 일률적인 정년 연장은 인건비 부담 가중 등으로 오히려 기업 펀더멘탈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단정적인 정년 연장이 아닌 전직 및 재취업 교육 확대, 노인 복지 강화 등 사회 정책을 폭넓게 아우르는 실효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큐레이터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18 사회공헌저널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936 | 등록연월일 : 2015년 1월 6일 | 발행연월일 : 2015년 2월 10일 제호 : 사회공헌저널 ㅣ발행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 1139 강동그린타워11층 R1135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이메일 : webmaster@scjournal.kr copyright c 2015 사회공헌저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