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6 (금)

  • 맑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4.7℃
  • 맑음대전 7.4℃
  • 맑음대구 8.5℃
  • 맑음울산 9.1℃
  • 구름조금광주 7.8℃
  • 맑음부산 9.2℃
  • 구름많음고창 7.0℃
  • 구름많음제주 11.8℃
  • 맑음강화 3.6℃
  • 맑음보은 5.7℃
  • 구름조금금산 7.2℃
  • 구름조금강진군 9.5℃
  • 맑음경주시 9.5℃
  • 구름조금거제 10.1℃
기상청 제공

The건강샘터

새로운 치료법의 시대, 비만과 당뇨약이 대세

최근 의약품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분야는 비만과 당뇨 치료제다.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이 분야의 신약 개발에 힘을 쏟고 있으며, 향후 5년 내 비만·당뇨약이 항암제를 제치고 가장 많이 팔리는 의약품 1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카그리세마, 티르제파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등 GLP-1 유사체 약물이 주목받고 있으며, 위고비와 젭바운드 등 새로운 비만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 이들 약물은 2030년까지 각각 연매출 202억 달러, 83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약 편의성 개선으로 환자의 순응도가 높아지면서 치료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비만 해결로 암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암제 특허 만료와 가격 하락으로 의약품 시장의 지형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보이고 있는데 향후 이 분야의 혁신적인 치료법 출현으로 만성질환자의 건강한 삶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향후 5년 안에 비만⋅당뇨약이 항암제를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의약품에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최근 10년 동안 효과 좋은 항암 신약들이 출시되면서 암 정복에 가까워졌고, 이들 신약의 핵심 특허 만료마저 다가오면서 복제약이 제품 가격을 하락시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비만 신약들이 만병의 근원인 비만을 해결하면 암 환자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2030년 전 세계 의약품 매출 1위는 오젬픽이 차지할 것으로 봤고, 2위는 프랑스 사노피와 미국 리제네론이 공동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듀피젠트, 3위는 마운자로, 5위는 젭바운드, 7위는 위고비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항암제는 비만·당뇨약 열풍에 뒷전으로 밀려날 전망이다. 2030년 10위권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항암제는 미국 존슨앤드존슨(J&J) 자회사인 얀센의 다발공수종 항암제인 다잘렉스(성분명 다라투무맙)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두 개에 그쳤다.

 

이들은 각각 8, 9위를 차지했다. 미국 애브비의 관절염 치료제 휴미라와 브리스톨-마이어 스퀴브(BMS)의 면역항암제 옵디보는 늘 매출 1,2위를 다퉜지만 2030년 10위권에서 탈락했다. 키트루다와 옵디보의 물질 특허는 오는 2028년 만료된다.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주요 약품의 특허 만료를 앞두고, 매출 공백을 빠르게 메울 수 있는 제품을 찾아 움직이는 데 따른 결과라고 분석했다. 향후 10년 동안 MSD, 존슨앤드존슨, BMS의 특허 만료가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항암제 매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효과 좋은 항암 신약들은 미국 시장에 나온 지 10년이 넘으면서, 공공의료보험인 메디케어의 바이오 의약품 가격 협상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이 같은 의약품 매출 전망은 신약 개발에도 영향을 미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추진하는 상위 유망 10개 신약 후보물질 가운데 4개가 비만⋅당뇨약이었다. 1위를 차지한 카그리세마는 오는 2030년까지 연매출이 202억 달러(약 2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카그리세마의 현재 가치를 800억달러(약 110조원)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비만약 시장에 최초로 진출했지만, 새로운 비만약이 시장을 침투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봤다. 또 비만약의 경쟁력은 체중 감량 효과는 기본이고, 투약 편의성도 중요해질 것이라고 봤다. 이벨류에이트는 “위고비와 젭바운드는 일주일에 한 번 맞는 주사인데, 주사 맞는 간격을 좀 더 늘리거나 먹는 약으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고 전했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