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품·의약품 관련 기존의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히 폐지하고 혁신 제품 등장을 지원하는 100가지 혁신 과제를 추진한다. 식약처는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함께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를 발표했다. 새 정부 국정과제인 '바이오·디지털 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추진을 위해 마련된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는 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면서 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제는 ▲ 신산업 지원(19건) ▲ 민생 불편·부담 개선(45건) ▲ 국제조화(13건) ▲ 절차적 규제 해소(23건) 등 4개 분야로 나뉜다. 신산업 지원 과제로는 디지털 헬스기기 신속 분류제도 도입이 있다. 기존 분류 체계에 속하지 않은 신기술 의료기기를 '한시품목'으로 분류해 품목 고시 전에 빠르게 제품화할 수 있도록 법령을 개정하는 내용이다. 식품 분야에서도 세포 배양 등 신기술을 적용한 식품이 나올 수 있도록 미래 식품 원료를 '한시적 인정 원료' 대상에 추가, 신소재 식품이 시장에 빠르게 나올 수 있게 지원할 방침이다. 민생 불편·부담 개선 과제에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사망보상급 지급 대상 확대
일본 로봇 전문 스타트업 ‘텔레이그지스턴스(Telexistence)’는 이달부터 일본 내 훼미리마트 지점에 인공지능(AI) 로봇 ‘TX SCARA’을 보급한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은 ‘편의점 왕국’이라 불릴 말큼 전 세계적으로 편의점 점포 밀도가 매우 높은 국가에 속한다. 일본 내 56,000여 개에 달하는 편의점 점포 가운데 약 16,000개가 훼미리마트 편의점이다. 훼미리마트에 고용된 로봇은 카메라로 각 선반을 스캔하고 AI 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감지‧식별해 부족한 상품을 다시 채워넣는 역할을 하게 된다. 로봇은 거의 자동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혹시라도 로봇이 상품의 위치를 잘못 판단하거나 상품이 넘어지는 등 필요한 경우에는 관리자가 가상현실(VR) 시스템을 통해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제어할 수도 있다. 또 로봇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상품 판매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가능하다. 텔레이그지스턴스는 반복적인 작업을 로봇에게 맡겨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구상이다. 편의점 직원들은 이 같은 단순 노동에서 벗어나 고객들을 응대하는 데 좀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