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폐기 화폐, 쌓으면 에베레스트산 6배 지난 상반기에 화폐(지폐+동전, 장 단위로 통일) 약 2억장이 훼손 또는 오염 때문에 폐기됐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손상화폐 폐기·교환 실적에 따르면 올해 1∼6월 폐기된 손상화폐는 모두 1억9천166만장, 액면가로는 1조1천566억원어치에 달했다. 가로로 이으면 총 길이가 2만4천765㎞로, 경부고속도로(415㎞)를 약 30번 왕복한 수준이다. 쌓으면 에베레스트산(8천849m)의 6배에 이르는 높이(5만3천459m)다. 은행권(지폐) 폐기량(1억6천943만장·1조1천541억원) 중 1만원권(9천300만장)이 절반(54.9%)으로 가장 많았다. 주화(동전) 폐기량(2천223만장·25억원) 중에는 10원화(950만장) 비중이 42.9%로 제일 컸다. 다만 코로나19 확산세로 은행권 환수가 부진하고 비대면 거래가 확대된 영향 등으로 올해 상반기 중 폐기된 손상화폐는 1년 전(2억2천310만장)보다 14.1%(3천144만장) 줄었다. 지난 상반기 손상된 지폐 중 교환이 이뤄진 대표적 사례를 보면, 경남에 사는 배모씨는 창고 화재로 손상된 지폐 1천847만원을, 대구 거주 김모씨는 빈 화분에 보관하다 물에 젖은 지폐
지난 6월 모든 세대를 합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금융 앱은 ‘삼성페이’로 지난 한 달간 1,575만 명이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로 토스 1,361만 명, 카카오뱅크 1,201만 명, KB스타뱅킹 1,043만 명, 신한 쏠 816만 명, NH스마트뱅킹 715만 명, 페이북/ISP 638만 명, 신한플레이 603만 명 순이었다. 세대별로 가장 많이 사용한 금융 앱은 달랐다. 1020세대는 금융 앱 중에서도 토스를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페이북/ISP, 카카오페이, PAYCO와 같은 간편결제 앱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대 이상은 삼성페이를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KB스타뱅킹, 신한 쏠과 같은 은행 앱과 삼성카드, 현대카드와 같은 카드 앱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는 토스, 삼성페이, 카카오뱅크, 페이북/ISP, 카카오페이, 우리WON뱅킹 순이었고 20대는 토스, 삼성페이, 카카오뱅크, KB스타뱅킹, 신한 쏠, 페이북/ISP 순이었다. 30대는 삼성페이, 토스, 카카오뱅크, KB스타뱅킹, 신한 쏠, 페이북/ISP 순이었고, 40대는 삼성페이, 카카오뱅크, 토스, KB스타뱅킹, NH스마트뱅킹, 50대 이상은 삼성페이, KB
편의점이 드론배송 서비스에 푹 빠진 이유는? 최근 편의점들이 잇따라 드론 배송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CU, GS25, 세븐일레븐 등 업계가 총출동했다. BGF리테일에 따르면 편의점 CU는 지난 9일부터 강원도 영월군과 손잡고 드론 배달을 시작했다. 서비스 점포는 CU영월주공점이다. 3.6㎞ 거리의 오아시스글램핑장으로 드론 배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배달 서비스 운영 시간은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3~8시, 배달료는 무료다. 해당 점포에는 드론 이착륙 시설, 관제시설 등 '드론 스테이션'이 마련됐다. 세븐일레븐은 인근 펜션과 캠핑 이용객을 대상으로 드론 배달 서비스를 운영한다. 5㎏ 무게까지 상품을 배달할 수 있다. GS리테일의 편의점 GS25도 지난달 무수천주유소에서 드론 배송 시연을 진행했다. 이마트24도 드론 배송 서비스를 검토 중이다. 편의점이 '드론'에 빠진 이유 현재 편의점 업계는 배달앱(애플리케이션) 등 퀵커머스 시장의 위협을 받고 있다. 퀵커머스는 단거래 배송으로 30분 내 생필품 등 상품을 배달하는 서비스다. 최근 코로나19를 거치며 수요가 급성장했다. 편의점의 최대 강점인 접근성을 위협하고 있다. 편의점 업계도 울며 겨자 먹기로 퀵커머스
네이버·쿠팡, 최근 3년 e커머스 위조상품 적발률 62%(26만 3,442건) 가전ㆍ디지털 품목 “10만 5,991”건으로 최다…전체 품목 중 40% 차지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이하 ‘소비자주권’)가 통계청 정보공개 회신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 e커머스 19개 업체의 위조상품 적발 건수는 총 427,091건이다. 이중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쿠팡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62%로 e커머스 업체 중 압도적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위조상품 적발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위조상품 적발 및 유통 건수가 2021년에 64,896건으로 2019년 대비 268% 증가했다. 쿠팡 또한 2021년 35,092건의 적발 건수를 기록해 2019년 대비 162% 증가했다. 이는 소비자의 신뢰에 보답은커녕 위조상품으로 불신감만 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 두 업계의 위조상품 적발 및 유통 건수가 가장 많았던 품목은 가전·디지털 품목으로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 충전기 등의 위조상품이 주를 이룬다. 잡화 및 의류 품목도 13만 9,861건이 적발됐다. 대부분 고가의 명품가방, 의류 등을 모방한 상품이다. 국내 명품 의류·잡화 판매량이 증가함에
혹시나가 역시나다. 아니나 다르까 '인생의 아름다운 마무리' 운운 상조업체의 부침, 비즈니스는 서로 물고 무는 전쟁이라는 상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장례소비자들의 소박한 소망들이 모여 상조업체가 성장하고 고객DB가 쌓여갈수록 'DB=자산'이란 등식에 가치를 더해왔다. '국내 1위 상조'를 사회공헌처럼 홍보해 오던 구호는 '자산가치 1위'란 말과 다를 바 없다. 프리드라이프, 대형 사모펀드 VIG파트너스가 인수한지 오래지 않은 작금 거액의 프리미엄이 붙어 매물로 나왔다. 펀드에게는 장례문화 따위는 관심밖이다.얼마나 이익을 붙여 팔아 넘길까... 그것만이 중요하다. 아무튼 투자업계(IB) 빅뉴스가 한국경제신문 단독으로 보도되었다. '2조 몸값' 1위 상조업체 매물로 나왔다 VIG, 프리드라이프 매각 나서 국내 1위 상조업체인 프리드라이프가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국내 기업과 국내외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주요 인수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프리드라이프를 보유한 국내 PEF VIG파트너스는 최근 매각을 위해 JP모간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했다. 매각 측은 다음달 예비입찰을 시작할 예정이다. 매각 금액은
네이버·캐롯, 카카오페이에 대항 동맹 대형 플랫폼 카카오를 등에 업은 카카오페이보험에 대항하기 위해 네이버파이낸셜과 캐롯손해보험(캐롯)이 뭉쳤다. 캐롯손해보험이 2일 네이버파이낸셜과의 제휴를 통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채널의 판매자를 대상으로 하는 '반품안심케어'를 선보인다고 전했다. 반품안심케어는 지난해부터 카카오페이보험이중국 안방보험이 판매하는 상품을 대상으로 벤치마킹하고 있는 상품이다. '반품안심케어'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의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반품 및 교환으로 인한 배송비용을 보상해주는 서비스다. 판매자는 무료 반품을 마케팅으로 활용하여 매출증대와 리스크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소비자는 무료 반품 및 교환 서비스 혜택을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 과정에서 캐롯은 네이버 파이낸셜에 기업비용보상보험을 제공한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는 네이버파이낸셜이 운영하는 반품안심케어에 가입하고 주문 상품 건당 이용료를 납부해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캐롯 관계자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판매자와 소비자 양측의 윈-윈효과로 인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거래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결과적으로 캐롯의 서비스 규모 역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golmok.seoul.go.kr)는 총 45종의 소상공인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해 자치구 및 상권별 생존률, 평균 매출액, 임대 시세 등 다양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서울시가 2016년 개발했으며, 2017년부터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와 재단은 이용 접근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개편 작업을 진행했다. 우선 정확한 상권 정보 제공을 위해 상권분석 영역 기준을 변경했다. 기존에는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려 상권을 구분했지만, 개편 이후에는 실제 보행으로 일정 시간 동안 걸어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분해 실제 골목길을 따라 형성되는 상권의 특징이 반영되도록 했다. 또한 예비 창업자를 위해 창업 유망 업종과 지역을 추천해주고, 창업 예정지 인근의 동일 업종 점포 수와 유동 인구 등을 세세히 담은 상권분석 리포트도 제공한다. 다양한 빅데이터를 융합해 최근 뜨는 상권을 지도로 한눈에 보여주는 '뜨는 상권' 기능도 신설했다. 아울러 '자가진단' 기능을 도입해 소상공인이 직접 자기점포
번개장터, 브랜드 팔로우 100만 건 돌파 “명품·패션이 이끈다” 취향·디깅 소비에 이어 브랜드 소비 패턴까지 반영해 브랜드 중고거래의 성지로 나아갈 것 브랜드가 개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취향 중고거래 앱 번개장터(대표 이재후)가 브랜드 중심으로 앱을 개편한 지 6개월 만에 전체 브랜드 팔로우 수 100만 건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2월 브랜드 팔로우 기능 평균 이용자 수는 오픈 시점인 지난해 9월 평균 대비 323% 성장했으며, 1명당 약 4개의 브랜드를 팔로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팔로우 수 기준으로, ‘나이키’가 약 9만2000건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나이키는 스니커즈 문화의 중요한 축으로써 컬래버레이션이나 한정판 제품 출시를 통해 스니커즈 마니아들의 수집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징적인 브랜드이다. 스니커즈 마니아들의 높은 충성도와 더불어 국내 스니커즈 리셀 시장의 성장함에 따라 많은 팔로우 수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2위는 약 4만9000건을 기록한 ‘애플’이 차지했다. 그 뒤로는 △구찌(약 3만3000건) △스톤아일랜드(약 3만 건) △샤넬(약 2만6000건) △메종마르지엘라(약 2만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