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윈난(雲南) 시솽반나(西雙版納), 성인이 앉을 수 있는 연잎 최근 중국 윈난(雲南) 시솽반나(西雙版納)에 왕련(王蓮, 빅토리아연꽃)이 만개하며 태족(다이족, 傣族) 여성의 일엽당주(一葉當舟: 배에 오르듯 잎 위에 앉음)를 볼 수 있다. 왕련은 유명한 수상 관상식물로 직경 2m이며 60~70kg의 물체의 무게에도 가라앉지 않고 견딜 수 있다. 출처 : 동북아신문
CyberLink, 신규 파워디렉터 20 포함된 ‘디렉터 패밀리 2021’ 출시업그레이드된 인공지능(AI) 편집 기능, 로열티 프리 효과는 800만가지 이상으로 늘려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개발사 CyberLink Corp. (5203.TW)가 새로운 버전의 디렉터 패밀리 2021를 출시했다. CyberLink의 콘텐츠 크리에이션 제품인 △파워디렉터 △포토디렉터 △오디오 디렉터 △컬러디렉터 등 4종 제품이 신버전으로 교체돼 사용자들에게 더 편리하고 정교한 편집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기존 셔터스톡 로열티 프리 효과 소스에 더해 신버전에는 게티이미지 효과까지 로열티 프리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파워디렉터 365 버전을 구독하면 약 800만가지의 로열티 프리 소스를 추가 비용없이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편집 작업을 상당 부분 자동화해 주는 각종 인공지능(AI) 기능도 큰 폭으로 추가됐으며 Windows 11도 지원한다. 신버전 파워디렉터 365에는 각종 스마트 기능 추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선이 눈에 띈다. 영상 속 하늘을 바꿀 수 있는 하늘 교체 기능, 물체 제거 기능, 음성 보정, 바람 소리 제거 등 이전까지 사진 편집에
임팩트피플스, 국내 최초 시니어 스마트 콘퍼런스 ‘메타버스 세계’에서 개최 임팩트피플스(대표 신철호)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에이풀 스마트 콘퍼런스’를 매월 정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며, 9월 13일 ‘꿈 현실에 접속하다, 메타버스’를 주제로 첫 행사를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 최초로 50세 이상 시니어만을 위해 기획, 공간의 제약 없이 효과적인 소통 환경과 현장감을 제공했다. 이번 특강 참여 신중년들은 메타버스 잠재고객으로서, 교육 참여 준비 과정부터 메타버스와 쉽게 친해지는 기회가 됐다. 에이풀 스마트 콘퍼런스를 통해 △메타버스 강연 △스마트 트렌드 퀴즈 △시니어 필수 앱 활용 정보 제공, 4차 산업 시대에 시니어 적응도를 높이고, 친교 활동에 도움을 줬다. 메타버스 관련기사 보기 -> 메타버스 산업, 큰 발걸음 내딛다 ☞ 임팩트피플스가 운영하는 신중년 라이프 스타일 플랫폼 에이풀을 통한 50세 이상 신중년들의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와 인지도에 대한 리서치 실행 결과, 53%는 메타버스 경험 없고 63%는 교육 참여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니어 전용 리서치 플랫폼 에이풀은 신중년이 직접 메타버스를 체험할 수 있는 회원 대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 열기가 청년창업 붐으로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창업진흥정책관’ 내에 청년정책과를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년정책과는 과장을 포함한 직원들을 20~30대 청년 위주로 배치해 청년의 눈높이에 맞는 창업정책이 기획·실행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최근 발표된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21년 상반기 청년 창업기업은 25만 8,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하는 등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뜨거운 창업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또 2021 포브스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에 우리나라의 청년 스타트업 15개가 선정되는 등 세계에서도 우리 청년 창업기업들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중기부는 뜨거운 창업 열기와 제2벤처붐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기 위해 청년창업 단계별 맞춤형 지원과 지역 청년창업 중심거점 조성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 발표한 바 있다. 청년정책과는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에서 발표했던 핵심과제들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뒷받침해 나가는 한편, 청년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 프로그램들을 통해 청년창업 붐이 확산될 수 있도록 청년창업 정책을 총괄해 추진해 나갈
내년부터 투자자들은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1주당 수십만원에 달하는 우량주를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국내 주식에 대한 소수 단위 매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 다음 달부터 서비스 제공을 희망하는 증권사의 신청을 받아 관련 시스템 구축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수 단위 매매가 가능해진다는 것은 '주식 수'가 아니라 '금액' 단위로 매매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가령 3천∼5천원으로도 1주당 100만원이 넘는 LG생활건강[051900]의 주식을 사는 것이 가능해진다. 해외주식의 소수단위 거래는 2019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돼 신한금융투자와 한국투자증권이 앞서 시장에 내놨다. 두 증권사를 통해 거래된 규모는 올 6월 말 기준 10억2천만달러(약 1조1천700억원)로, 당국의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금융위는 "국내에서 소수 단위 주식 거래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면서 "업계 등 의견을 감안해 일정 기간 해당 서비스를 먼저 운영하면서 관련 법령 개정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소수점 매매를 위해서는 투자자의 소수 단위 주식 주문을 합산, 부족분은 증권사가 스스로 메우는 방식으로 온주(온전한 주식 1주)를 만들어야
지금까지 비즈니스는 개개인이 구축하는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 철도 건설에 비유한다면 먼저 거금을 투입해 선로 침목을 구입한다 선로나 바퀴, 전차, 엔진을 구입한다. 시간, 기술, 경비를 사용하여 연료를 넣는다. 목적지와 목표물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모든 것을 자비로 한다고 하는 것이 종래의 비즈니스 구축 방법이었다. 당신이 창업가·경영자라면 분명 이러한 방법이 몸에 배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업경영의 국제적 권위자인 '브랜든 버처드'는 이러한 수고로움은 이제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단언하고 있다. 실상을 바라보면 대기업이나 대형 조직이 당신의 비즈니스와 같은 목적이나 타겟에 접근하고 있을 것이다. 그들은 이미 몇 천억 자금을 투자하여 당신이 구축하려고 하는 인프라와 설비를 이미 손에 넣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당신이 철도를 건설하기 전에 이미 운행하고 있는 대규모 철도가 있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들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낭비해야 할 일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에서는 「시행 착오」라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미 성공적인 예가 있다면 1부터시제품을만들고 테스트를 하는 것보다 기존의 아이디어를 따라 해
11번가가 아마존 해외직구(직접 구매) 서비스 개시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11번가는 8일 “지난달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 론칭 후 첫 일주일(8월31일~9월6일)간 해외직구 카테고리 거래액이 전월 동기간 대비 3.5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11번가는 모회사인 SK텔레콤의 아마존 구독상품인 ‘우주패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며 해외직구 매출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론칭 일주일 만에 15만 여명이 아마존 관련 구독서비스에 가입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약 19%, 30대 33%, 40대 29%, 50대 이상이 19%였다. SKT의 우주패스는 월 4900원 또는 9900원에 가입하면 금액과 상관없이 무료로 해외직구 상품을 배송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우주패스 가입자가 아니면 배송비가 발생하며, 2만8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로 배송된다. 11번가는 아마존에서도 잘 팔리는 수 천만개 상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입점시킨 점도 구매 고객에게 먹혀든 것으로 보고 있다. 11번가 관계자는 “‘아마존 스토어’ 구매 고객의 상품 탐색빈도가 11번가 전체보다 4배가량 높았다”며 “구매할 상품을 미리 정해 놓고 결제하는 ‘목적성 쇼핑’
중년에 하루 7천보씩 걸으면 조기 사망 위험을 최대 7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미국 매사추세츠대학 연구진이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네트워크 오픈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루 최소 7천보를 걷는 사람들은 7천보 미만으로 걷는 사람들보다 10여 년 뒤 사망 가능성이 50∼70% 낮았다. 연구 참가자 인종별로 7천보 이상 걷는 흑인과 백인의 사망 위험은 그렇지 않은 같은 그룹보다 각각 70%, 63% 낮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58%, 여성이 72% 각각 사망 위험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38∼50세 성인 2천110명을 대상으로 2005∼2006년 가속도계를 착용하고 나서 10.8년간 추적 관찰해 얻은 데이터를 지난해와 올해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모두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조사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연구 기간 숨진 참가자의 사인은 주로 암과 심혈관 질환이었다. 걷는 강도와 사망 위험의 상호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현실 세계에서 하루 1만보가 건강한 걷기 운동의 기준으로 종종 제시되지만, 연구진은 1만보를 걷기가 추가로 사망 위험을 줄이는 데 큰 관련이 없다고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